특허로 홈페이지 바로가기 및 출원신청, 증명서 발급하기 방법 자세히 알아봅니다. 특허로 홈페이지는 특허청과 한국특허정보원이 제공하는 무료 특허·상표·디자인 정보 공개 서비스입니다. 누구나 국내·외 지식재산권 정보를 검색하고 조회할 수 있는 국가 공식 플랫폼입니다.
목차
특허로 홈페이지 바로가기

특허로(KIPRIS)는 대한민국 기술·상표·디자인 정보를 무료로 조회하는 국가 공식 플랫폼으로, 기술 개발·사업 준비·브랜딩·연구에 필요한 핵심 정보를 누구나 쉽게 얻을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특허로 홈페이지 주요 서비스
특허·실용신안 검색
- 출원·등록·심사 정보 조회
- 도면, 명세서, 요약문 확인
- IPC/UPC 기술 분류 검색
→ 새로운 제품이나 기술 개발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핵심 기능
상표 검색
- 브랜드명 등록 가능 여부 확인
- 유사 상표 조회
- 경쟁사 상표권 분석
→ 사업자에게 매우 유용 (브랜드 네이밍 전 필수)
디자인권 검색
- 디자인 등록 정보
- 유사 디자인 존재 여부
- 도면 이미지 확인
→ 제품 디자인을 개발하는 회사·프리랜서 디자이너에게 중요
해외 특허 검색
- 미국, 일본, 유럽 등 주요국 공개 특허 조회
- WIPO 국제출원 정보(PCT) 검색
→ 글로벌 시장 진출 기업에게 필수
특허 패밀리·인용 정보 분석
- 같은 발명이 여러 나라에 출원된 이력 조회
- 다른 특허가 특정 특허를 인용한 관계 분석
- 기술 발전 흐름 파악
→ 연구자·분석가들이 가장 많이 활용하는 기능
AI 특허 검색 (지능형 검색)
- 키워드만 넣어도 연관 특허 자동 추천
- 유사 특허 클러스터링
- 기술분야 자동 태깅
→ 초보자도 어렵지 않게 기술 분석 가능
출원 현황 조회 (MyPatis 연동)
- 내가 출원한 특허의 상태 조회
- 진행 단계(심사 중/거절/등록) 확인
지식재산권 통계
- 기술 분야별 출원 현황
- 기업·국가별 출원 동향
- 시계열 그래프 제공
→ 시장 및 기술 연구에 매우 유용
특허로 홈페이지 출원신청, 증명서 발급하기
특허로 홈페이지 특허 출원신청 절차
1. 발명 아이디어 정리
보호하고 싶은 기술의 핵심 구조·원리·차별점을 간단히 문서로 정리합니다.
2. 선행기술 조사
이미 같은 기술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입니다.
- 검색사이트: 특허로(KIPRIS), Google Patents 선행기술과 겹치면 등록이 어려우므로 꼭 필요한 과정입니다.
3. 명세서 작성
특허의 핵심 문서로, 발명을 설명하는 내용과 **청구범위(권리 범위)**를 작성해야 합니다.
전문성이 필요해서 보통 변리사 도움을 많이 받습니다.
4. 특허 출원 신청
특허청 전자출원 시스템(KIPOnet)에서 명세서·도면 등을 제출하고 수수료를 납부합니다.
- 출원료: 개인 기준 약 5~7만원
5. 심사청구
출원 후 3년 이내에 심사청구를 해야 실제 심사가 시작됩니다.
- 비용: 약 18만원 내외
6. 특허청 심사
심사관이 신규성·진보성·산업적 이용 가능성을 검토합니다. 결과는 등록 가능, 보정 요구, 거절 중 하나입니다.
7. 등록료 납부 → 특허 등록
등록 결정이 나면 등록료를 납부하면 특허권을 취득합니다.
특허권 보호 기간: 출원일 기준 20년
특허로 홈페이지 증명서 발급 방법
1. 특허로(KIPRIS) 홈페이지 접속
→ 검색창에 “특허로” 또는 “KIPRIS” 입력해 사이트 접속
2. 로그인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 또는 간편인증으로 로그인
3. ‘증명서 발급’ 메뉴 이동
메뉴 위치: [지식재산 서비스] → [지식재산권 증명서 발급]
4. 발급하고 싶은 증명서 선택
- 특허등록원부
- 상표등록원부
- 디자인등록원부
- 출원사항증명서 등
5. 출원번호 또는 등록번호 입력
발급할 권리(특허/상표 등)의 출원번호·등록번호를 입력하고 조회
6. 수수료 결제 후 발급
온라인 결제 → PDF 또는 출력 형식으로 즉시 발급
특허로 홈페이지 주요 이용자
1. 개발자·엔지니어·발명가
- 기존 특허가 있는지 선행기술 검색을 위해 이용
- 기술 개발 시 특허 분쟁 예방
2. 스타트업·사업가·전문 투자자
- 특정 기술 분야의 트렌드를 파악
- 경쟁사의 특허 전략 분석
- 신사업 아이디어 탐색
3. 변리사·지식재산권 전문가
- 특허 출원·심사·등록 상태를 확인
- 고객 상담에 필요한 기술 정보 제공
4. 학생·연구자
- 논문 작성·기술 연구 시 기존 R&D 흐름 확인
- 과제 제안서·특허 기반 연구 자료 확보
5. 일반 사용자
- 기업 이름으로 상표가 등록돼 있는지 확인
- 제품이 특허를 보유했는지 조회 가능
이상입니다.
[다른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