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mom.eduro.go.kr) 안내입니다.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는 교육부에서 매년 실시하는 온라인 기반 선별검사로, 학생의 성격특성과 정서·행동 발달 상태를 평가합니다. 아동·청소년기에 흔히 나타나는 정서적 어려움(불안, 우울, 주의력 결핍 등)을 조기에 발견하고, 개인별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목차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 홈페이지 바로가기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는 단순한 “문제아 선별”이 아닌, 모든 학생의 마음건강을 지키기 위한 안전망입니다. 학부모와 교사는 검사 결과를 통해 자녀·학생의 숨은 강점을 발견하고, 어려움을 겪는 아이들에게 손을 내밀어야 합니다.
학생정서ㆍ행동특성검사
참여기간 : 4월 1일(화) ~ 4월 30일(수)
본 검사는 학생들의 성격특성과 정서행동발달 경향을 이해하고 정서적으로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해 실시하는 검사입니다.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 소개
교육부에서 매년 실시하는 온라인 기반 선별검사로, 학생의 성격특성과 정서·행동 발달 상태를 평가합니다. 아동·청소년기에 흔히 나타나는 정서적 어려움(불안, 우울, 주의력 결핍 등)을 조기에 발견하고, 개인별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검사 목적
- 학생의 성격특성과 긍정적 자원 파악 및 안내
-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 및 관리체계를 구축하여 학생정서·행동의 긍정적인 발달을 촉진하고 예상되는 문제의 조기 발견 및 조치
- 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학교생활 및 학습의 어려움을 예방 및 관리
검사 대상
- 초등학교(공민학교 포함) 1·4학년
- 중학교(고등공민학교 포함) 1학년
- 고등학교(고등기술학교) 1학년, 특수학교, 각종학교
※ 단, 검사 주체인 학교장이 교육청과 협의하여 대상자(학생) 제외처리 가능
※ 제외 예시 : 신체적·인지적으로 검사가 불가능한 경우, 대상자가 만 19세 이상의 성인인 경우 등
관심을 가져야 할 사람들
- 학부모: 자녀의 정서적 문제 조기 발견 및 양육 지원.
- 교사: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력 향상을 위한 맞춤 지도.
- 상담사: 심층 평가가 필요한 학생을 전문기관(Wee센터 등)에 연계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 검사 내용
- 학생 개개인의 성격특성에 맞는 맞춤형 교육적 제안제시
- 정서·행동문제 대응, 학교폭력피해, 자살 징후 등 위기학생 조기발견 및 관리, 기초학력지원 등 학생에 대한 학교 내외의 체계적 관리기반 조성
- 검사도구 : 학교급별용 1종 (초등학교 : CPSQ-Ⅱ, 중·고등학교 : AMPQ-Ⅲ)
검사 효과
- 조기 개입: 정서적 문제를 가진 학생을 신속히 전문기관에 연계.
- 맞춤 지원: 성격 강점을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 제공.
- 학업 향상: 정서적 안정이 학업 성취도로 이어짐.
검사 절차
- 2단계 검사(학교 온라인/서면 검사-1차, 전문기관 심층검사-2차)
- 온라인(NEIS)/서면 검사 : 초·중·고등학교 학생 대상 특성검사
- 심층검사 : Wee센터, 정신건강복지센터,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의료기관 등에서 심층평가 실시
이상입니다.
[다른글]